코드 

설명 

\n

문자열 안에서 줄을 바꿀 때 사용 

\t 

문자열 사이에 탭 간격을 줄 때 사용 

\\ 

문자 \를 그대로 표현할 때 사용 

\' 

작은 따옴표(')를 그대로 표현할 때 사용 

\" 

큰 따옴표(")를 그대로 표현할 때 사용 



리스트에서 값의 존재 확인하기


# value가 some_list의 요소인지 확인

def in_list(some_list, value):

    i = 0

    while i < len(some_list):

        # some_list에서 value를 찾으면 True를 리턴

        if some_list[i] == value:

            return True

        i = i + 1


    # 만약 some_list에서 value를 발견하지 못했으면 False를 리턴

    return False


# 테스트

primes = [2, 3, 5, 7, 11, 13, 17, 19, 23]

print(in_list(primes, 7))

print(in_list(primes, 12))


in 활용 / not in

primes = [2, 3, 5, 7, 11, 13, 17, 19, 23]

print(7 in primes)

print(12 in primes)


리스트 안의 리스트 (Nested List)


# 세 번의 시험을 보는 수업

grades = [[62, 75, 77], [78, 81, 86], [85, 91, 89]]


# 첫 번째 학생의 성적

print(grades[0])


# 세 번째 학생의 성적

print(grades[2])


# 첫 번째 학생의 첫 번째 시험 성적

print(grades[0][0])


# 세 번째 학생의 두 번째 시험 성적

print(grades[2][1])


# 첫 번째 시험의 평균

print((grades[0][0] + grades[1][0] + grades[2][0]) / 3)


메소드

sort - some_list.sort() : 새로운 리스트를 생성하지 않고 some_list를 정렬 상태로 바꿔줌

reverse - some_list.reverse() : 원소들을 뒤집어진 상태로 배열

index - some_list.index(x) : some_list 에서 x의 값을 갖고 있는 원소의 인덱스를 리턴

remove - some_list.remove(x) : some_list에서 첫 번쨰로 x의 값을 갖고 있는 원소를 삭제

원소 갯수 세기

- len 함수


alphabet = ["a", "b", "c", "d"]

print("리스트의 길이는 : %d % len(alphabet))


원소 추가하기

- insert 함수와 append 함수를 통해서 리스트에 원소 추가 가능


numbers = []


# 마지막 위치에 5 추가

numbers.append(5)

print(numbers)


# 마지막 위치에 8 추가

numbers.append(8)

print(numbers)


# 마지막 위치에 10 추가

numbers.append(10)

print(numbers)


# 인덱스 0 자리에 0 추가

numbers.insert(0, 0)

print(numbers)


# 인덱스 3 자리에 12 추가

numbers.insert(3, 12)

print(numbers)


원소 빼기

- del 함수


numbers = [1, 2, 3, 4, 5, 6]


# 인덱스 3에 있는 값 삭제

del numbers[3]

print(numbers)


# 인덱스 4부터 마지막 값까지 삭제

del numbers[4:]

print(numbers)



원소 정렬하기

- sorted 함수 : 리스트의 원소들을 오름차순으로 정렬한 새로운 리스트를 리턴


numbers = [8, 6, 9, 1, 2, 4, 7, 5, 3]

numbers = sorted(numbers)


print(numbers)


리스트 연결하기

- 리스트들을 +로 연결하기


alphabet1 = ["a", "b", "c"]

alphabet2 = ["d", "e", "f"]

alphabet = alphabet1 + alphabet2


print(alphabet)

name = input("이름을 입력하세요: ") #괄호 안은 입력 창에 뜨는 안내 문구


#만약 콘솔 창에서 YOUR_NAME을 입력하면

print("Hello " + name)


#print("Hello " + name)의 결과는 Hello YOUR_NAME이 된다



input으로 정수나 소수 입력을 하려면


x = int(input("첫 번째 정수: "))

y = int(input("두 번째 정수: "))

print("두 정수의 합: %d" % (x + y))



'Python > 문법정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리스트] 리스트 종합  (0) 2017.08.13
[리스트] 함수  (0) 2017.08.13
[랜덤함수] randint 함수와 uniform 함수  (0) 2017.08.13
[모듈] 파일 생성 & import  (0) 2017.08.13
[제곱수 구하기] pow(x, n)  (0) 2017.08.13

radint - 두 정수 사이의 랜덤한 정수를 리턴시켜주는 함수

파이썬에 기본적으로 깔려있는 random 모듈에 정의되어 있다.


from random import randint


# a <= N <= b인 랜덤한 정수 N의 값을 리턴

randint(a, b)


x = randint(1, 20)

print(x)


uniform - random 모듈 안에 정의되어 있는 두 수 사이의 랜덤한 소수를 리턴시켜주는 함수


from random import uniform


x = uniform(0, 1)

print(x)

'Python > 문법정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리스트] 함수  (0) 2017.08.13
[input] 유저에게 입력을 받기 위한 내장함수  (0) 2017.08.13
[모듈] 파일 생성 & import  (0) 2017.08.13
[제곱수 구하기] pow(x, n)  (0) 2017.08.13
[조건문] if / elif / else  (0) 2017.08.12

모듈?

변수, 함수, 클래스 등을 모아 놓은 파일. 모듈에 함수나 정보등을 정의해두고 가져다 쓰는 식



calculator.py 파일 생성


#합

def sum(x, y):

return x + y


# 차이

def difference(x, y):

return x + y


# 곱

def product(x, y):

return x * y


# 제곱

def square(x):

return x * x



이후 이 모듈을 쓸 파이썬 문서에서


from calculaotr import sum, square #difference, product도 가능, from calculator import * < 전부 임포트할 경우


print(sum(3, 5)) # 이런식으로 불러 쓸 수 있다.


x의 n승을 구하고 싶으면

pow(x, n)

1. if

a = 10

b = 84

if a < b:
print("b가 a보다 크다")

2. else 

a = 10

b = 84

if a < b:
print("b가 a보다 크다")
else:
print("a가 b보다 크다")

3. elif

a = 10

b = 84

if a < b:
print("b가 a보다 크다")
elif a == b:
print("a랑 b랑 같다")
else:
print("a가 b보다 크다")


코드

설명

%s

문자열(String)

%c

문자 1개(character)

%d

정수(Integer)

%f

부동 소수(floating-point)

%o

8진수

%x

16진수

%%

Literal % (문자 '%'그 자체)


%s 는 문자열

%d 는 정수

%f 는 실수



PI = 3.14


def calculate_area(r):

retrun PI * r * r


radius = 6 # 반지름

print("반지름이 %.3f면 원 넓이는 %.3f" % (radius, calculate_area(radius)))


radius = 12 # 반지름

print("반지름이 %.3f면 원 넓이는 %.3f" % (radius, calculate_area(radius))) 



#%.3f = 실수 3자리까지 표시한다는 의미


+ Recent post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