원소 갯수 세기
- len 함수
alphabet = ["a", "b", "c", "d"]
print("리스트의 길이는 : %d % len(alphabet))
원소 추가하기
- insert 함수와 append 함수를 통해서 리스트에 원소 추가 가능
numbers = []
# 마지막 위치에 5 추가
numbers.append(5)
print(numbers)
# 마지막 위치에 8 추가
numbers.append(8)
print(numbers)
# 마지막 위치에 10 추가
numbers.append(10)
print(numbers)
# 인덱스 0 자리에 0 추가
numbers.insert(0, 0)
print(numbers)
# 인덱스 3 자리에 12 추가
numbers.insert(3, 12)
print(numbers)
원소 빼기
- del 함수
numbers = [1, 2, 3, 4, 5, 6]
# 인덱스 3에 있는 값 삭제
del numbers[3]
print(numbers)
# 인덱스 4부터 마지막 값까지 삭제
del numbers[4:]
print(numbers)
원소 정렬하기
- sorted 함수 : 리스트의 원소들을 오름차순으로 정렬한 새로운 리스트를 리턴
numbers = [8, 6, 9, 1, 2, 4, 7, 5, 3]
numbers = sorted(numbers)
print(numbers)
리스트 연결하기
- 리스트들을 +로 연결하기
alphabet1 = ["a", "b", "c"]
alphabet2 = ["d", "e", "f"]
alphabet = alphabet1 + alphabet2
print(alphabet)
'Python > 문법정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이스케이프 코드] \n, \t, \\, \', \" (0) | 2017.08.21 |
---|---|
[리스트] 리스트 종합 (0) | 2017.08.13 |
[input] 유저에게 입력을 받기 위한 내장함수 (0) | 2017.08.13 |
[랜덤함수] randint 함수와 uniform 함수 (0) | 2017.08.13 |
[모듈] 파일 생성 & import (0) | 2017.08.13 |